안녕하세요 춘딩이에요 오늘은 드론 비행가능지역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려고 해요
우선 드론을 날리시려면 자동차운전면허증과 같이 가장 먼저 국가자격 드론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해요
국가 자격 드론 자격증은 아래와 같이 개인이 소유한 드론의 무게에 따라 1종에서 4종으로 나뉩니다.
국가자격 드론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어도 아무곳에서나 드론을 날리면 항공안전법 제 30조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ㅠㅠ
가장 쉽게 알아보는 방법은
드론플라이(DroneFly) 또는 Ready to fly 앱을 참고하는 것입니다.
위 그림과 같이 ‘비행금지구역’, ‘비행제한구역’ ‘관제권’ 등 드론을 날릴 수 없거나 사전에 허가를 받아야 하는 지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전에 허가를 받으시려면 ‘드론원스톱민원서비스 주소: drone.onestop.go.kr에 방문하셔야 합니다.
허가신청을 하기 전에 먼저 회원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 다음엔 민원신청▶비행승인 신청으로 들어갑니다.
비행승인신청을 누르면 페이지가 나오는데 작성해야하는게 많습니다..ㅠㅠ
이전에 설명드린 것처럼 드론을 날릴 수 있는지 확인하는데 앱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아래의 비행구역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마찬가지로 드론 비행허가 또는 금지/제한 구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행장치 종류의 경우 드론은 ‘무인멀티콥터’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
아래에도 조종자의 정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다음은 비행승인 요청 시 사용할 드론의 사진, 제원 등등등의 파일을 업로드해야 하는데요
그 밑에 개인이 소유한 드론의 무게에 따라 반드시 업로드 해야할 파일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가지고 있는 드론이 2kg 이하의 드론, 비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비행이라고 하면 초경량비행장치제원성능표만 업로드 하면 됩니다.
여기까지 다 입력하셨으면 페이지 제일 하단에 있는 접수를 클릭하시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혹시 단순 비행 승인 신청 외에 비행 및 촬영 승인 신청을 동시에 하고 싶으시다면 민원신청▶비행/촬영 원스톱 신청을 하시면 되고 이때 역시 작성할 내용은 크게 다르지 않으니 어렵지 않게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작성하신 비행승인 신청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시려면 마이페이지▶민원신청 현황을 들어가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드론을 날리기 전 비행금지/제한구역 확인하는 방법과 사전 비행승인 신청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유해 보았습니다!
댓글